농업 · 농촌 활성화와 혁신연계조직

  • #국내 연구자료 
  • 작성일 2020.11.11

혁신연계조직(Innovation Broker)은 농업·농촌 활성화의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혁신주체

 최근의 혁신정책은 정책 간, 혁신주체 간 연계·통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 작업을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혁신주체의 역할이 강조됨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면서 과학기술계의 첨단기술주의, 농촌·사회적 경제의 적정기술 및 생태주의를 뛰어넘는 ‘제3의 길’ 모색이 필요

 대학, 연구기관 등 다양한 혁신주체를 농업·농촌개발 및 활성화 활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연계조직의 필요성이 커짐

- 완주, 문경, 홍성 등 농촌 활성화 활동을 추진해 온 지역들은 역량 있는 중간지원조직에 의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나 혁신활동과의 결합은 미흡

 혁신연계조직은 파트너십, 정보 제공, 자금 지원 등 혁신주체 간 협업을 다양한 형태로 지원

 

 혁신연계조직의 개념, 유형, 활동

 혁신연계조직은 혁신주체를 연결하고 이들을 혁신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

혁신연계조직은 수요 구체화, 네트워크 형성 등의 지원활동과 함께 혁신주체 간 연계를 맡는 구성원으로서 등장

- 연계조직 자체는 직접 혁신활동에 개입하지 않고, 혁신주체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접적 역할을 맡음

혁신주체 간 이해관계에 강하게 얽혀있지 않으므로 조정 및 지원활동을 객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혁신연계조직의 유형과 활동 과정

혁신시스템 내 지위와 소통 형태에 따라 연계조직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으며, 유형에 따라 연계활동의 초점과 대응되는 혁신시스템의 수준이 달라짐

- 연계조직의 활동은 크게 기획, 연계, 구현 세 단계의 틀에서 이루어짐

 연계 활성화를 위한 요소

- 혁신시스템 구성원으로서 연계조직은 혁신주체와 대상 영역에 대한 이해, 기술적 역량, 객관적 사고, 개방성을 지닐 것이 요구됨

제도, 절차, 조직 등 혁신시스템의 환경적 요소와 경험적 요소 역시 연계조직의 효과와 지속성 유지에 영향을 미침

 

 주요 혁신연계조직 활동 사례 탐색

 스페인 와인 기술플랫폼(P.T.Vino)

최근 스페인 와인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설립된 기술플랫폼으로, 농민·생산·유통·기술개발 관련 모든 행위자를 포함

- 산업계의 참여와 활동 비중이 크며, 기업과 타 주체의 협업, 수요 도출, 전략적 R&D&I 활용을 통해 산업 발전으로 이행

워킹그룹의 분석을 토대로 전략, 목표, 활동이 설계되며, 연계활동 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경지식, 참여구조 조직화 등의 역량 강조

 핀란드 농촌 리빙랩(Agro Living Lab)

- 농어민과 농기계기업, 유통업의 연계를 통해 농업 생산시스템 전반의 혁신을 도모

참여자 간 직접적 상호작용을 지향하며, 리빙랩을 중심으로 혁신활동 행위자를 결집하고 사용자 주도 설계, 협업 촉진, 활용 측면의 지원 강화 등을 수행

- 참여 구성원의 아이디어가 사용자 기반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농민의 참여도가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연계성과 제고를 위한 참여 구조의 조정, 사용자와 생산자 양 측면의 전문성 확보 강조

 그리스 카르디차 개발기구(ANKA S.A.)

- 다양한 지역개발 프로젝트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연계조직으로 발전한 사례이며, 지자체를 중심으로 결집

- 프로젝트에 수반된 각 부서를 연계활동 단위로 설정하여 기술 지원,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를 지원

- 프로젝트에 수반된 부서를 단위로 기술, 기업 지원, 기획, 서비스 등의 연계활동이 진행되며, 기획, 관리 측면의 역량과 함께 지역 구성원의 신뢰 확보 강조

 스코틀랜드 Quality Meat Scotland(QMS)

- 생산, 유통, 보건, 미디어, R&D 등 축산업 구성요소 각각에 위원회를 구성하고, 농민·수의사·기업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이 참여

산업, 시장, 품질 등 부문별 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동 방향이 나뉘며, R&D와 비R&D 영역에 대한 고른 지원, QMS-파트너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강조

 

 

 정책적 시사점

 스페인, 핀란드 등은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혁신연계조직이 존재하며현장-정책-R&D 간의 매개 및 상호작용 역할 담당

 현재 우리나라는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중간지원조직이 있으나, 과학기술혁신 관련 조직과의 연계·협력 활동은 미흡

 과학기술을 통한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해 첨단온실신축, 식물공장형 생산시스템 구축, 농업과 ICT 융복합 촉진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농업·농촌의 주체인 농어민과 혁신주체(농진청, 기술센터, 대학)들과의 협력 및 신뢰 관계 미구축

 농업·농촌 시스템 혁신 및 장기적인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연구와 현장, 과학기술정책과 농촌정책 간, 연계하고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혁신연계조직의 육성 필요

 혁신연계조직의 유형 및 활동 방식·범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새롭게 혁신연계조직을 육성하거나 기존에 활동하는 중간지원조직 및 혁신조직의 미션 및 활동을 확대·발전시켜 나갈 수 있음

 지역에 따라 수요, 역량, 처한 환경이 다르므로 혁신연계 역시 지역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필요

 혁신연계 과정에서 사안에 따라 다른 접근방식을 취해야 하므로, 사전에 정책·법·제도 등 시스템적 문제, 지역의 수요, 연계조직의 기대 역할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

첨부파일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