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과 농촌의 새로운 만남: 농촌리빙랩
- #국내 연구자료
- 작성일 2020.11.11
1. 농촌 발전과 리빙랩
농촌 지역 발전전략 논의에서 농촌 리빙랩이 부각
● 농촌 발전정책에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
● 농촌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모델로 ‘농촌 리빙랩(Rural Living Lab)’이 부각
‘농촌 리빙랩’은 리빙랩 방법론과 농촌 발전전략이 결합된 혁신플랫폼
● 리빙랩은 생활 현장(real-life setting)에서 사용자가 혁신활동의 주체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개방형 혁신플랫폼
● 경제적 기반 약화, 인구 유출 및 고령화, 취약한 인프라 등 농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빙랩 운영
2. 유럽 C@R 프로젝트와 Frascati 리빙랩
유럽은 C@R(Collaboration at Rural) 프로젝트를 농촌 리빙랩 방식으로 수행하여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실험 수행
● 협업환경 구축을 통해 각 지역 리빙랩의 성과 공유
- 리빙랩이 위치한 지역의 배경과 여건에 맞춘 전략적 운영
- 협업 요소 간 연결과 혁신활동 주기의 지속 강조
● 리빙랩 모델의 적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 선례 확보
- 농촌 혁신시스템 내 모든 구성 주체의 역할 강화
- 궁극적으로 농촌을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환시키는 모델로 활용
Frascati Living Lab은 C@R 프로젝트에 포함된 7개 농촌 리빙랩 중 하나로, 농어촌 지역에 리빙랩 개념을 접목시킨 대표적인 사례
● Frascati의 지역 맥락(포도농업 주력)을 기반으로 활동방향을 설정하고, 기업 인큐베이션(Incubation) 측면을 강조
● 개발주체와 사용자(주민)가 함께 구성한 공동체를 기반으로 개발활동이 진행되며, 학습 및 피드백을 통해 지속성 강화
리빙랩 성과
● C@R 프로젝트에서는 협업환경, 지역 맥락에 맞는 리빙랩 구축을 통해 혁신활동의 파급효과가 농촌(혁신주체 포함) 전반에 전파
- 농촌 구성원 간, 개발 단계 간 연계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에 기여
● Frascati Living Lab은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도 함께 실현하여 리빙랩 모델의 경제성 확보에도 기여
3. 한국에서의 시사점
시사점 1 과학기술·ICT와 농촌을 연계하는 인터페이스 사업모델
● 농촌 리빙랩을 통해 서로 유리되어 발전되어 왔던 과학기술과 농촌의 적극적인 만남을 모색
● 농어민의 참여뿐만 아니라 대학, 연구기관, 혁신지원센터 등의 다양한 혁신주체를 리빙랩 틀에 끌어들여, 농촌 문제를 다각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계기 마련
시사점 2 농촌주체의 참여에 기반을 둔 내생적 발전전략
● 그동안 중앙 및 외부 의존의 하향적·외생적 발전 추진과 성장주의에 기반한 물적 인프라 확충 정책으로 수많은 농촌·농업정책이 실패
● 리빙랩은 농촌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지역의 문제 해결능력 및 사회적 자본·혁신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
시사점 3 농촌의 다기능성에 기반을 둔 통합형 발전전략
● 리빙랩은 농촌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지역공동체 조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농촌-농민, 농촌-도시 간 상생관계 고려
● 리빙랩을 통해 농촌 발전과 현장과의 연계가 약한 농업 R&D의 현장 지향성 강화
시사점 4 전환 실험과 전략적 니치로서 활용
● 우리나라 농촌은 인구 감소, 고령화 등의 구조적 문제가 심각하며,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시스템 전환이 불가피
● 고기술사업·저기술사업, 기술개발·서비스·지역개발 등 다양한 유형의 사업을 포괄할 수 있는 농촌 혁신모델 개발 가능
4. 한국형 농촌 리빙랩 예시
농업·농촌의 휴양·치유·돌봄 기능을 활용한 리빙랩
● 농업·농촌의 휴양·치유, 교육·보육 기능을 활용, 체험·관광·돌봄 서비스 등의 새로운 서비스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리빙랩
낙후 농촌 지역개발 리빙랩
● 낙후 지역을 리빙랩으로 지정하고, 지역경제 활력화 및 의료·복지 서비스 개선 사업 추진
농촌·농업의 자원 순환을 위한 리빙랩
● 로컬푸드, 음식물쓰레기, 축분 등 다양한 자원의 지역내 자급과 순환을 위한 도시-농촌, 농촌-농촌 간의 리빙랩 구축
지역 기반 농기구·농법·농사방식 개발·실험 리빙랩
● 지역 특성을 반영한 농기구·농법·농사 방식에서부터 유통·서비스까지 전 과정을 개발 및 실험하는 사용자 주도형 리빙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