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리빙랩
- #국내 연구자료
- 작성일 2020.11.11
1. 시스템 전환과 리빙랩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전세계적인 과제로 등장
● 기존 사회·기술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의 한계를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에너지·주거·교통·식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시도
- 우리나라에서도 경제·사회·혁신 전반과 관련된 시스템 전환을 강조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전환 관리 전략 및 방법론 미흡
독일은 다양한 에너지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전환 방법론으로서 리빙랩을 활용
● 이 글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랩으로서 SusLab NWE(Sustainable Labs North West Europe, SusLab NWE, 이하 SusLab NWE)과 이 사업의 하나인 독일 보트롭 SusLab NWE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 관점 반영과 전환랩으로서 리빙랩 도입에 의미있는 시사점 도출
2.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랩(SusLab NWE)과 보트롭 프로젝트의 추진 과정과 특징
SusLab NWE는 유럽연합으로부터 지원받는 프로젝트로서, 주민의 주거 공간을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하부구조 구축을 지향
● 건축, 산업디자인, 컴퓨터공학, 사회학, 심리학, 정책학 등 다차원적인 연구를 통해 주민의 녹색생활 실천 현실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
- SusLab NWE는 ‘지속가능한 주거공간(sustainable home)’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함
참여 국가 중 독일의 루르지역 보트롭 도시 전환 사례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 (Sub-Project)으로서 도시난방시스템 전환을 목표로 추진
● 보트롭(Bottrop)을 파일럿 도시로 선정한 후, “Model City Bottrop”이라는 표어와 함께 파일럿 프로젝트 진행
- 시민의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와 신재생에너지 활용·확산 방안에 초점을 맞춤
보트롭 프로젝트의 가장 큰 특징은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프로젝트 수주
● 파일럿 도시 선정 과정 전반에 22,000명의 보트롭 시민이 참여
- 교육 프로그램 및 로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자 자신이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경각심 제고
보트롭의 청사진은 시민참여 방안 및 상향식 방식으로 작성
● 프로젝트 아이디어와 장기간 비전 도출을 위해 정책 전문가, 기술 전문가, 그리고 시민들이 함께하는 자리(포럼, 워크숍, 토론회 등)를 지속적으로 만듦
- 기술적·사회적·경제적인 관점이 총괄적으로 수렴되었으며, 이를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프로젝트로 창출
- 건축가, 에너지, 컨설턴트, 그리고 기타 지역주민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과 정책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혁신을 이끌어냄
과학자문위원회를 통해 연구방법론도 개발
● 지역 조사 및 인사이트 연구(Insight Research) 단계 : 사전 조사 단계로서, 거주 지역의 전체 에너지 소비 현황과 소비자 인터뷰를 통한 소비 패턴 및 에너지 절약에 관한 주요 수요 분석
● 프로토 타입 개발·구현(Prototyping) 단계 :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리빙랩에서 테스트
● 필드 테스팅(Field Testing) 단계 : 성과 확산 단계로서,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서 프로토타입을 평가하고 시장 진입을 준비
3. 사례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보트롭 프로젝트는 지역과 시민의 니즈를 반영하여 실현 가능성을 높였으며, 시민과 기업에게 환경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더 큰 도약을 기획
● 본 프로젝트는 도시 전환의 성공 사례로, 공공-민간 파트너십 등 지역·도시 차원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줌
● 프로젝트 방향성을 시민의 능동적 참여에서 찾고, 프로젝트 시작 단계부터 시민 참여 중시
● 마스터플랜을 구축함으로써 루르 지역뿐만이 아닌 보트롭 주변과 독일, 나아가 타 국가의 도시까지 모두 지속가능한 전환을 이룰 수 있는 기반 마련
4.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을 위한 정책 과제
과제 1
시스템 전환의 관점 도입과 니치 전략으로서 리빙랩 도입
●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을 강조하고 있으나, 경제·환경·사회 등의 다차원을 고려하는 시스템 전환 인식 부족
● 소규모·분산형 에너지시스템 실험 등 시스템 전환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위한 전략적 니치 전략으로서 리빙랩 방식 도입
● 마을·지역사회 단위에서의 다양한 실험을 니치로 활용하되, 주민 참여 및 제안 사업 등으로 상향식/협업 체계 확대
과제 2
사용자(수요자)의 구체적 참여 방안 확충
● 사용자들이 과제 기획과정에 참여하고 있지만 단발적으로 개인 의견을 피력하는 수준에 그쳐, 체계적이고 대표성있는 의견 수렴의 한계를 드러냄
● 사용자가 조직적으로 니즈 발굴 및 사업 기획, 추진체제 설계에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
● 재생에너지시스템 등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 개발·도입시 수요자들의 요구와 사회적 문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방법론 및 프로세스 개발
과제 3
사용자 행동 패턴 및 생활양식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
● 현재 우리나라는 추상적인 수준에서 문제를 인식·진단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식 및 행동 패턴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매우 부족
● 문제의 원인과 현황, 관련 당사자들의 행태·심리·건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 사업 추진
●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이나 복지와 관련된 사회적 수요에 대한 현장 조사·분석을 강화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 의제를 발굴
과제 4
실제 생활 현장 기반의 실증·구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연구개발주체와 시민사회의 상호작용이 미흡하여 개발활동의 실증·구현이 어려움
● 리빙랩 방식으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여 실제 생활현장 기반의 실증·구현 활동 강화
● 국가 및 국제 차원의 리빙랩 인프라를 구축하여 외국 자본·인력·기업이 국내로 유인될 수 있는 플랫폼 마련
과제 5
사업의 공감대 확보 및 관련 주체의 이해도 제고
● 리빙랩의 취지나 필요성은 일부 공감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 시도된 바가 없으며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절차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
● 리빙랩 사업 기획부터 연구개발, 실증 전 과정을 공개하고 시민사회의 의견을 듣는 리얼다큐형 사업 추진
● 연구팀과 시민사회 조직이 참여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며 실증하는 전 과정을 공개함으로써 리빙랩 사업의 공감대 확보 및 이해도 제고